소개
한국 (Republic of Korea)
NEAR 가입현황
- 1996년 연합창립멤버로 경상북도, 경상남도, 강원도, 경기도, 충청북도, 충청남도, 전라북도, 전라남도, 제주특별자치도 가입
- 2000년 부산광역시 가입
- 2006년 대구광역시 가입
- 2008년 인천광역시, 대전광역시, 광주광역시, 울산광역시 가입
-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가입으로 17개 광역시도 중 서울특별시를 제외한16개 광역자치단체 가입
주요활동사항
- 1996년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동북아 호혜 평등 이념을 바탕으로 행정, 경제, 문화 등의 교류협력을 위해 연합헌장제정 및 연합창립하게 되었고 경상북도 이의근지사가 초대 의장으로 선출
- 1998년 경상북도가 동북아시아의 경제 활성화와 통상진흥을 위해 경제통상분과위원회를 코디네이터를 맡으면서 신설 개최
- 1999년 제2회 경제통상분과위원회 개최 (경제인들의 편의를 위한 동북아 그린카드제 운영 제안 등)
- 2002년 제3회 경제ㆍ통상분과위원회 개최 (동북아연합 경제통상교류 활성화 방안 논의 등)
- 2003년 제4회 경제ㆍ통상분과위원회 개최 (외국인 투자요청, 합작개발 제안 등)
- 2004년
- 제5차 총회 (중국 헤이룽장성)때 연합사무국 경상북도에서 유치 (2005. 5월 경상북도 포항시에 설치)
- 부산광역시 제6대 의장단체 신청 및 결정
- 제5회 경제ㆍ통상분과위원회 개최 (전문품목 상담회 개최 등)
- 2005년 제6회 경제ㆍ통상분과위원회 개최 (동북아지역 경제통상 교류의 활성화 방안 대한 토의 등)
- 2006년
- 제6차 총회(대한민국 부산광역시)에서 “동북아 지역간 공동번영과 NEAR역할” 주제로 개최되었으며, 과학기술분과위원회(경기도) 신설
- 제7회 경제ㆍ통상분과위원회 개최(단체무역상담회, 경북우수품전시개최 등)
- 2007년
- 제1회 과학기술분과위원회 “자치단체간 과학기술 협력방안 모색”이라는 주제로 개최
- 제8회 경제ㆍ통상분과위원회 개최 (2007 NEAR국제경제포럼 및 다자간 무역상담회로 대체)
- 2008년 제7회 총회에서 경기도 제8대 의장단체 신청 및 결정
- 2009년
- 제2회 과학기술분과위원회가 바이오 기술발전방안이라는 주제로 개최(바이오분야의 국제협력사례발표, 동북아 바이오산업 협력방안 모색 등)
- 제9회 경제ㆍ통상분과위원회 개최( 회원 자치단체별 경제위기 극복 우수사례 발표 등)
- 2010년 에너지기후변화분과위원회(대구광역시) 신설
- 2011년 제8차 실무위원회에서 생명의료산업분과위원회(충청북도), 농업분과위원회(전라남도) 신설
- 2012년
- 제9차 총회에서 전라남도 제10대 의장단체 신청 및 결정
- 제1회 에너지ㆍ기후변화분과위원회(대구광역시) 개최, 자치 단체간 에너지ㆍ기후변화 대응하기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
- 2013년
- 제1회 농업분과위원회(전라남도) 개최, 기후변화에 따른 농산물의 안정적 생산방안 등을 논의
- 제9차 실무위원회에서 경제통상분과위원회를 경제인문교류분과위원회로 명칭 변경
- 제10회 경제ㆍ인문교류분과위원회 개최 (경북도내 마을기업 및 협동조합관련 사례발표 등)
- 2014년 제1회 생명ㆍ의료산업분과위원회(충청북도) 개최, 첨단 바이오산업의 기술 수준을 알리고 참가 회원단체들의 바이오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임
- 2015년
- 제2회 농업분과위원회(전라남도)개최, 지속가능한 친환경농업 실천방안 주제로 회원단체 농업정책 교류
- 제11회 경제ㆍ인문교류분과위원회 개최(동북아 회원단체간 경제협력 강화 방안 등 회원단체 사례발표)
- 2016년 제11차 총회(러시아 이르쿠츠크주)에서 과학기술분과위원회 폐지 및 에너지ㆍ기후변화분과위원회는 중국 산시성(山西省)으로 이양
- 2017년 제12회 경제ㆍ인문교류분과위원회 개최(기조연설 및 사례발표, 한국문화체험 및 탐방)
- 2019년 제13회 경제ㆍ인문교류분과위원회 개최 (동북아의 지역주의와 초국경협력 주제로 참가단체 사례발표 등)